피플

[차이나 비즈니스 A to Z] 제4화. 한국 생방송에 별풍선이 있다면, 중국엔 람보르기니가 있다

  *이 콘텐츠는 제일기획 자회사 펑타이의 최원준 코리아 지사장이 작성했습니다.   모바일 생방송 중 1억7천만 원을 선물 받다 중국의 대표 생방송 플랫폼 하면 화지아오(花椒, HUA JIAO)를 꼽을 수 있는데요. 이곳 인기 주보(主播, BJ)가 한 시청자로부터 1억7천만 원 상당의 선물을 받은 일이 있었습니다. 위 사진은 그 당시 너무 기뻐 울음을 터트린 모습.  그녀가 받은 선물은 화지아오에서 가장 비싼 아이템인 ‘파란요희(蓝色妖姬)’였는데요. 해석하면 파란빛의 절세미인 정도 되겠네요. 개당 가격은 무려 우리 돈으로 33만 원. 시청자가 선물한 파란요희 개수만 해도 500개였죠. 중국의 상술이 진화했다고 느낄 때가 많습니다. 우리나라 인터넷 방송에선 ‘별풍선’ 아이템만 볼 수 있지만 중국은 한화 17원에서부터 33만 원까지 다양한 아이템을 보유하고 있는데요. 화지아오의 경우 ‘콩’ 단위로 선물이 가능한데, 콩 1개 가격은 약 17원. 도넛은 콩 1개, 키스는 콩 88개, 반지는 1,314개의 콩이 필요합니다. 심지어 람보르기니도 선물할 수 있는데요. 3,333개 콩(5만6천 원)이면 고급 차 한 대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 중국판 블랙프라이데이에 징동닷컴 류창동 CEO가 직접 모바일 생방송을 진행하는 모습 작년부터 불기 시작한 모바일 생방송 열풍은 일반 대중들이나 스타를 넘어서 기업 총수들에게도 불고 있습니다. 과감하게 BJ로 나서고 있는 것인데요. 중국판 블랙프라이데이라 불리는 쌍십일(11월 11일 광군제), 알리바바에 이은 2위 이커머스 플랫폼 JD.COM (징동닷컴)이 12시간 릴레이 생방송을…

피플

[차이나 비즈니스 A to Z] 제3화. 진정한 공유 서비스의 발견, 자전거 공유 서비스 ‘mobike’와 ‘ofo’

  *이 콘텐츠는 제일기획 자회사 펑타이의 최원준 코리아 지사장이 작성했습니다.   자전거 공유 서비스로 환경보호부터 교통 체증까지 한 방에 해결 ▲ 자전거 공유 O2O 서비스 오포(ofo) (이미지 출처: 오포 사이트) 중국의 IT 산업은 많은 분야에서 한국을 크게 앞서 있습니다. 알리페이나 위챗페이의 핀테크, 세계 1위 드론업체 DJI가 이끄는 드론,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 등이 그 예죠. 이미 배달 O2O 서비스는 꽤 보편화 돼 있고요. 공유 콘셉트의 O2O 서비스도 무럭무럭 성장하고 있죠. 대표적으로 차량공유 서비스를 들 수 있는데요. 텐센트의 ‘디디다쳐’와 알리바바의 ‘콰이디다쳐’가 ‘디디추싱’으로 전격 합병하면서 택시 예약 서비스 사업을 확장하고 있고, 지난해 8월에는 천하의 우버마저 대륙의 기세에 무릎을 꿇고 디디추싱의 품으로 들어갔습니다. 디디추싱은 올해 춘절 대이동 전후로 카풀 서비스를 선보이기로 해 화제가 되기도 했는데요. 기차표는 구하기 어렵고, 황금 시즌 비행기 티켓 가격은 부담인 중국인에게 또 하나의 해결책이 된 셈이죠. 이 밖에도 대리운전, 버스 공유 등 다양한 차량 서비스를 내놓으며 차량운행 감소,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 등에 기여해 포춘이 선정한 혁신기업에 뽑히기도 했습니다. 이번 칼럼의 주제가 자동차 서비스는 아닙니다. 우리에게는 조금 생소한 ‘자전거 공유 서비스’에 대해 이야기하려고 하는데요. 유사 서비스가 세계 주요 도시에 있지만, 가성비·편의성·디자인·디지털 플랫폼 완성도 측면에서 중국 서비스가 가장 만족스러웠습니다. 한국·영국·중국 3개국의…

피플

[차이나 비즈니스 A to Z] 제2화. 고급진 온라인 자료를 찾아 중국으로 가다

  *이 콘텐츠는 제일기획 자회사 펑타이의 최원준 코리아 지사장이 작성했습니다. 지난 2015년 11월 11일, 알리바바 티몰의 광군제 매출액은 15조 원. 1년만인 지난해에는 21조 원을 달성했습니다. 어마어마한 금액이죠. 도대체 한국과 몇 배 차이가 날지 궁금해서 네이버에 ‘한국’ 온라인 쇼핑 규모를 쳐봤습니다. 예상했던 것과는 조금 다른 검색 결과가 나오더라고요. 한국보다 중국 온라인 쇼핑 관련 기사가 더 많이 노출되는 것 아니겠습니까. 이유는 중국에서 생산하는 정보의 양이 엄청나다 보니 그걸 번역, 인용하는 한글 정보 또한 넘쳐났기 때문인데요. 중국의 방대한 정보가 한국까지 넘어온 것이죠. 사실 한국은 맛집 정보나 연예 뉴스는 쏟아지고 있지만, 고급 정보의 양은 크게 감소하고 있습니다. 국내 경제가 어려워지면서 언론, 기업, 연구소 등의 정보 생산 인력이 축소됐고, 예산마저 줄다 보니 양적으로도 감소했죠. 그럼, 질적인 측면은 어떨까요.   중국의 시사잡지 기자 수 한국의 최대 5배 잡지 디자이너는 중국이 7배나 많아 중국에 가면 습관적으로 길거리 가판대에 들르곤 합니다. 그곳에 걸려 있는 잡지의 제목만 쭉 훑어봐도 중국의 경제, 문화, 사회, 정치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죠. 한국은 당시 이슈를 신속하게 보도하는 정치, 사회 기사가 많지만 중국은 기자의 인사이트가 담긴 기획성 기사가 표지를 장식합니다. 이 차이는 많은 기자가 오랜 기간 준비할 수 있는 여건때문이라는 생각이 드는데요. ▲…

총 0건의 기사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