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일기획광고대상'(으)로 검색한 결과
블로그 총 2 건

[4월 제일세미나] 미래의 크리에이터를 꿈꾼다면
크리에이터란 무엇일까요? 각자, 자신이 그리는 크리에이터의 모습이 있을 것 같은데요. 다채로운 크리에이터의 모습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크리에이터라는 이름으로 사회에 진출하기 위해서 같은 것들을 준비하는 것 같네요. 영어공부, 자격증 취득, 공모전, 취업 스터디… 이런 것들 말이죠. 자신의 능력을 소위 말하는 ‘눈에 보이는 스펙’으로 만들어 내려 애쓰는 것인데요. 크리에이터도 마찬가지입니다. ‘크리에이터 1급 자격증’ 같은 건 없죠. 자격증은 있으면 좋지만 꼭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눈에 보이는 스펙은 취업을 위한 것, 회사원이 되기 위한 것일 수는 있지만 크리에이터가 되기 위한 방법은 아니라고 생각해요. 그것보다 눈에 보이지 않는 무언가가 필요할 것 같은데요. 그 무언가는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요? 보이지 않는 것을 찾아 헤맨 이야기 하나. 트렌드 읽기 저는 입사 전, 2010년 7월부터 약 두 달간 제일기획에서 인턴으로 근무했습니다. 당시 선배들의 기획서를 관찰하곤 했는데요. 그러다 놀라운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그래서 사회의 트렌드를 읽어 내는 힘을 기르고자 했죠. 2010년, 제가 발견한 트렌드 두 가지는 ‘통섭’과 ‘소통’이었습니다. 통섭(統攝, Consilience) 학문의 경계를 허물고 분야를 막론하여 통합적인 솔루션을 제시하는 것을 통섭이라고 하는데요. 2008년, 서울대학교에서는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을 신설하는 등 학계와 사회 곳곳에서 통섭이라는 키워드에 주목하고 있었습니다. 기업에서도 비즈니스 분야를 막론하고 통섭형 인재를 발굴하려는 움직임이 있었죠. ‘과연 나는 시대가 원하는 통섭형 인재일까?’ 돌아보게 됐는데요. 통섭형 인재라는 말은 거창한 것 같지만 그렇게 어려운 것이 아니었습니다. 이 경험을 통해…

"우리 신입 전직이 격투기 선수?" 제일기획 현혜원 프로를 만나다
올해 열린 하계수련대회에서 남다른 이력으로 1만여 명의 눈길을 사로잡은 신입사원이 있습니다. 그녀는 격투기 유망주로 전국 국무도 대회에서 여러 차례 우승했는데요. 광고에 눈 뜬 이래 여덟 번의 공모전에서 수상하고, 한국 대표로 칸 라이온즈 국제 광고제에 참석, 남들은 한 번 하기도 어려운 인턴을 다섯 번이나 하고 2013년 1월, 신입사원이 됐습니다. 이 놀라운 경력의 주인공은 바로 제일기획 캠페인 2팀 현혜원 프로입니다. ▲ 53기 하계수련대회, 신입사원의 열정 스토리를 들려주는 Blue Speech에서 발표하는 모습 사장·임원단을 비롯해 53기 신입사원 모두가 지켜보는 가운데 당차게 발표하는 모습에서 그녀의 단단한 내공이 느껴졌습니다. 이토록 화려한 경력을 쌓을 수 있었던 원동력은 무엇이었을까요? 그녀는 이렇게 답했습니다. “산만함이요.” 정신을 차려보니 내가 격투기 소녀? 제주도에서 나고 자란 현 프로는 8살에 격투기를 시작했습니다. “사실 어떻게 시작했는지 기억이 잘 안 나요. 정신을 차려보니 제가 운동을 엄청 좋아하고 또 굉장히 열심히 하고 있었어요.” 현 프로는 10살 때 태권도 1단을 따고 그 후 합기도와 공수도, 국무도, 그리고 우슈까지 섭렵했습니다. 문화관광부장관기 전국 국무도 대회에서 금메달을 따는 등 두각을 나타내며 유소년 선수로 활약했는데요. 10년 동안 운동에 매진했고 진로 역시 경호원, 경찰 등을 염두에 뒀습니다. 그러나 고1 때 예상치 못한 위기가 찾아왔습니다. ▲ 학창시절 국무도 대회에서 우승, 시상식 장면 여느 때와 같이 대회 준비를 하던 중, 무리한 운동으로 다리 근육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