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콘텐츠는 제일기획 자회사 펑타이의 최원준 코리아 지사장이 작성했습니다.
지난 2015년 11월 11일, 알리바바 티몰의 광군제 매출액은 15조 원. 1년만인 지난해에는 21조 원을 달성했습니다. 어마어마한 금액이죠. 도대체 한국과 몇 배 차이가 날지 궁금해서 네이버에 ‘한국’ 온라인 쇼핑 규모를 쳐봤습니다. 예상했던 것과는 조금 다른 검색 결과가 나오더라고요. 한국보다 중국 온라인 쇼핑 관련 기사가 더 많이 노출되는 것 아니겠습니까.
이유는 중국에서 생산하는 정보의 양이 엄청나다 보니 그걸 번역, 인용하는 한글 정보 또한 넘쳐났기 때문인데요. 중국의 방대한 정보가 한국까지 넘어온 것이죠. 사실 한국은 맛집 정보나 연예 뉴스는 쏟아지고 있지만, 고급 정보의 양은 크게 감소하고 있습니다. 국내 경제가 어려워지면서 언론, 기업, 연구소 등의 정보 생산 인력이 축소됐고, 예산마저 줄다 보니 양적으로도 감소했죠. 그럼, 질적인 측면은 어떨까요.
중국의 시사잡지 기자 수 한국의 최대 5배
잡지 디자이너는 중국이 7배나 많아
중국에 가면 습관적으로 길거리 가판대에 들르곤 합니다. 그곳에 걸려 있는 잡지의 제목만 쭉 훑어봐도 중국의 경제, 문화, 사회, 정치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죠. 한국은 당시 이슈를 신속하게 보도하는 정치, 사회 기사가 많지만 중국은 기자의 인사이트가 담긴 기획성 기사가 표지를 장식합니다. 이 차이는 많은 기자가 오랜 기간 준비할 수 있는 여건때문이라는 생각이 드는데요.
▲ 중국 길거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가판대의 모습. 중국은 시사잡지 소비 규모가 아직까지 상당하다
그도 그럴 것이 양국의 대표 시사 잡지들을 사서 몇 명의 기자들이 만드는지 세어봤더니, 주간지 한 권을 만들기 위해 한국은 보통 15~20명, 중국은 50명에서 많게는 100명의 기자가 투입되더라고요. 주간지 평균 분량은 광고 포함 100페이지. 필자가 자주 찾는 중국 주간지 삼연생활주간(三聯生活週刊)은 무려 200페이지에 이릅니다.
한국과 중국의 잡지를 비교하면서 읽다가 한국 잡지의 가독성이 떨어지는 이유도 알게 됐습니다. 잡지 가독성을 높이고, 보기 좋게 꾸미는 크리에이티브 디자이너의 수 역시 한국이 절대적으로 적다는 것인데요. 중국은 최소 15명 이상이 작업하지만, 한국의 경우 평균 2~3명. 개인별 디자이너 수준이 아무리 높다고 해도 숫자가 7~8배 차이 나면 이겨낼 길이 없는 것이죠. 상황이 이렇다 보니 중국 콘텐츠의 때깔이 한국 콘텐츠보다 훨씬 낫다는 생각입니다.
▲ 중국 가판대 위에는 각양각색 시사잡지가 빼곡하게 진열돼 있다
그렇다면, 한국이 나름 앞서 있다고 평가되는 온라인은 어떨까요? 온라인 분야나 모바일 영역에서 소비되는 정보의 수적, 질적 열세는 마찬가지입니다. 중국에는 고급스러운 무료 정보와 실시간으로 공개되는 정보가 한국보다 월등히 많습니다. 미국이나 유럽 등과 비교해도 무료로 제공되는 양질의 온라인 정보가 차고 넘치죠.
고급 무료 정보, 중국 온라인에 깔려 있고 개방성 높아
바이두 실시간 순위를 주제별, 지역별, 연령별로 골라 본다
중국 검색 1위 엔진 바이두부터 살펴봅시다. 중국은 정치적인 이슈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정보는 개방됐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실시간 검색 순위도 한국에 비해 분류가 훨씬 세밀하고요. 인물만 하더라도 가수, 미남미녀, 역사인물, 재계인물 등으로 나눠져 있고, 예능은 영화, 드라마, 음악 등 장르별로 실시간 검색 순위를 제공하죠.
바이두 실시간 검색 랭킹(http://top.baidu.com/)
▲ 바이두 실시간 검색 랭킹 페이지 내의 핫토픽 인물, 연예인, 여배우 순위
여기에다 본인이 원하는 정보를 콕 집어볼 수 있도록 구성했는데요. 지역별, 도시별, 연령별, 남녀별, 주기별로 바로 뽑아볼 수 있도록 개방돼 있습니다. 핸드폰, 자동차 등 관심을 가질 만한 브랜드별 검색 관심 순위도 제공되죠.
요즘 웬만한 시장 전문가들은 각종 조사 데이터를 찾다가 네이버에서 안 나오면 오히려 중국 바이두에서 검색을 한다고 합니다. 신사업 아이디어나 심도 있는 정보기술(IT) 동향을 살펴보고 싶을 때는 위챗 공식계정을 펼쳐 보고요.
▲ 지역별, 분야별로도 검색 순위를 골라 볼 수 있는 바이두는 그 편리성으로 인해 이용자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
이처럼 중국이 질적·양적으로 성장한 정보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는 반면 한국은 어떨까요? 수익성 악화에 따른 언론 매체의 예산 감소로 양질의 콘텐츠가 양적, 질적으로 줄어들고 있고요. 대기업이나 금융권에서는 연구소 사업을 축소하거나 아예 사업을 접는 곳도 늘어나고 있죠.
중국은 소비자를 분석한 자료도 다양하게 구비
80後(바링허우), 90後(지우링허우)를 세분화한 85後, 95後 자료도
▲ 바이두에서 공개한 ‘여러분은 모르는 지우링허우(95後)’ 자료
소비자를 분석한 자료도 꽤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중국에 관심 있는 분들은 부모 세대의 생각과 소비 패턴이 전혀 다른 바링허우(80後, 80년대 출생자)와 지우링허우(90後, 90년대 출생자)에 관한 기사를 접해봤을 것입니다.
요즘에는 10년 단위의 소비자 분석을 5년 단위로 쪼개 분석하기 시작하면서 지우링허우(95後)의 특성을 다룬 데이터들이 쏟아지기 시작했습니다. 젊은 소비자들을 5살 간격으로 세그먼트를 나누면서 그들이 어떤 온라인 서비스를 많이 이용하는지, 티몰 광군제 소비 패턴이 어떻게 다른지 등을 심도 있게 분석하기도 합니다. 변화하는 소비자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상품 기획도 제대로 할 수 있을 테니까요.
▲ 텐센트가 공개한 지우링허우(95後) 분석 자료의 일부. 광군제와 상품관심도를 분석한 도표가 눈길을 끈다
필자는 최근 중국 IT업계의 눈부신 성장에는 다양한 양질의 정보가 상당한 기여를 했을 거라 믿습니다. 투자와 소비가 크게 위축되고 있는 한국에서 생산되는 정보마저 축소된다면 미래는 더욱 어두울 것입니다. 한국인의 지적 수준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고, 결국 국가 경쟁력으로 이어질 게 확실하기 때문이죠.
정보로서 가치를 갖기 위한 전제 조건은 정확하고 객관적 정보라는 전제 하에 적시성(필요한 시점에 제공되는가), 완전성(추가 조사 필요 없이 전면적인가), 적실성(적합하고 관련이 있는가) 등의 관점으로 판단합니다. 그런데 한국에서는 필요한 시점에, 추가 조사 없이, 적합한 정보 찾기가 점점 힘들어지고 있습니다.
이 점 하나는 꼭 명심합시다!
“우리에겐 맛집 정보나 연예기사 말고도, 개인과 기업의 생산성에 도움이 되는 알짜 양질의 정보가 아주 절실하다는 것을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