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 돋보기

궁극의 이야기를 위해

VR, 브랜드의 새로운 도구 많은 전문가가 2016년을 ‘시장의 원년’으로 평가하며 VR 시장에 대해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그러나 현재 상황을 보면 그 예상만큼 폭발적으로 성장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VR 멀미나 어지럼증 등에 대한 문제는 계속되고 있고, 기어 VR이나 오큘러스 같은 전용 하드웨어(HMD)의 판매 속도도 생각보다 느리다. 눈길을 사로잡는 ‘킬러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생산 및 유통하는 플랫폼도 부족하다. 그러나 MIT, KPMG, 가트너 등 전문 기관과 페이스북, 애플, 아마존 등 IT 거인들은 VR을 여전히 최우선 과제로 꼽고 있다. VR이 소비자에게 새로운 차원의 경험을 선사할 수 있다는 점, 디지털과 현실 사이의 간극을 메우며 다양한 콘텐츠가 생산될 여지를 제공한다는 점, 따라서 독자적 시장을 형성하지 못했던 3D 기술과 차별점이 있다는 점에는 분명 암묵적인 합의가 이뤄진 듯하다. 시장 조사 기관인 포레스터는 다소 느린 증가세에도 불구하고 HMD 시장이 나름대로 성장을 거듭, 2020년까지 약 5,200만 대 이상의 기기가 출하될 것으로 예상했다. 앞서 언급한 페이스북을 포함해 텐센트, 구글, 알리바바 등 『 MIT 테크놀로지 리뷰 』가 ‘세상에서 가장 똑똑한 기업’으로 꼽은 곳들 대부분은 조만간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VR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페이스북이 올해 F8에서 공개한 소셜 VR 서비스 ‘페이스북 스페이스’. Ⓒfacebook.com/spaces  무엇보다 산업군을 막론하고 모든 마케터들은 이 새로운 테크놀로지에 집중하고…

테크 돋보기

취향을 알아줘, 패션테크 트렌드

  맞춤화와 개인화에 직면한 패션테크 스타트업 패션테크를 지향하는 회사는 두 가지 과제에 직면한다. 기술의 힘을 빌려 과거 전통적이고 폐쇄적인 도제 방식을 따르는 생산 라인을 개선해야 할 뿐만 아니라, 상품의 특성상 시장 최전방에 서서 소비자와 마주하며 작금의 유행에 민첩하게 반응해야 할 필요도 있다. 이와 관련해 최근 메지(Mezi), 오퍼레이터(Operator)를 비롯한 쇼핑 챗봇 스타트업이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보여주는 현상과 아마존이나 넷플릭스가 대변하는 맞춤형 커머스의 인기를 볼 때 지금 소비자가 어떤 쇼핑 경험을 누리고 싶어하는지 알 수 있다. 소비자는 다수 대중을 상대로 한 상품보다 특정 그룹을 타깃팅하는 상품을 선호하며, 개인에게 가장 알맞은 물건을 골라 소비하면서 ‘특별한 경험’을 누리고자 한다. 따라서 패션테크 스타트업들도 소비자에게 보다 맞춤화 및 개인화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재편하고 있다.   만족스러운 쇼핑 경험을 위한 인공지능 소비자가 좋아하지 않는 옷, 구매하지 않을 듯한 스타일의 옷을 구경하는 데 시간을 허비하고 ‘나쁜 쇼핑 경험’을 얻게 내버려두는 대신, 패션테크 회사들은 그에게 제일 잘 어울릴 법한 옷을 간편하고도 만족스럽게 구매할 수 있도록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인공지능을 활용해 소비자 개인의 브랜드에 대한 선호, 좋아하는 스타일, 체형 등을 복합적으로 분석하고 최적의 상품을 추천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소비자의 시간과 불편을 절감하는 동시에 판매 수익도 제고하기를 기대하는데, 일례로 2012년…

테크 돋보기

인공지능, 한 걸음 더 가까워지다

▲ I/O 2017 로고 ©events.google.com   구글 I/O 2017, 인공지능에 집중 I/O는 컴퓨터의 입출력 신호(Input and Output)를 의미하는 동시에 오픈 이노베이션(Innovation in the Open)을 뜻한다. 구글이 개발 중인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대해 심도 있는 세션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디지털 생태계의 거대 플랫폼으로서 자기 방향성을 보여주는 자리이기 때문에 업계에 막대한 영향력을 미친다. 예전 크롬OS 기반의 ‘크롬북’이나 자율주행 기술을 구현한 ‘구글카’, IoT 환경 구축을 위한 ‘구글 홈’ 및 VR 플랫폼 ‘데이드림’ 등이 모두 I/O를 빌려 공개된 바 있다. 올해는 컨퍼런스의 시작부터 끝까지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진행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현재 구글의 최우선 과제가 인공지능의 고도화 및 상용화에 있음을 잘 보여 줬다. 작년에도 구글 어시스턴트와 구글 홈의 시범에 많은 시간을 할애했던 구글은 올해 컨퍼런스에서도 인공지능을 활용해 어떤 형태의 디지털 생태계를 구축하려 하는지 구체적인 청사진을 밝혔다. 이미 연초의 CES와 MWC, SXSW 같은 글로벌 컨퍼런스에서 ‘거의 모든 것의 인공지능(AoE, AI of Everything)’ 동향을 확인할 수 있었던 바, 구글의 AI 서비스와 그 의미에 대해 살펴본다.   순다르 피차이의 키노트, ‘모바일 우선에서 AI 우선으로’ 순다르 피차이(Sundar Pichai) CEO가 키노트 연설로 컨퍼런스의 포문을 열었다. 순다르 피차이를 비롯해 구글의 개발자들이 I/O에서 공개한 서비스들의 공통점은 사용자의 번거로움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테크 돋보기

얼굴이 말해 주는 것들

MIT 선정 혁신 기술, ‘얼굴 인식’에 대한 관심 MIT의 10대 유망 기술은 경제 및 사회 전반에 걸쳐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 수 있는지가 주된 선정 기준이다.올해는 머신러닝보다 진보한 개념의 ‘강화된 머신러닝’, 시중의 카메라로 언제 어디서든 촬영할 수 있게 된 ‘360 셀피’ 등이 이름을 올린 가운데 얼굴 인식을 활용한 결제 기술이 함께 선정됐다. 퀀텀컴퓨터, 인간세포지도 등 여타 유망 기술에 비해 상당히 고도화된 이 기술을 선정한 이유는 최근 바이두나 알리바바 등이 보여 준 행보 때문인 듯하다. 이미 두 회사는 얼굴 인식 기술을 기반으로 결제를 포함한 여러 B2C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 MIT 전략 기술에 선정된 얼굴 인식 기술 ©technologyreview.com 얼굴 인식 기술은 원래 보안용 솔루션으로 관심을 받아 왔고, 얼마 전 삼성이 공개한 갤럭시 S8도 사용자의 얼굴로 화면 잠금을 해제할 수 있어 화제를 불러일으켰다. 올해 9월 출시 예정인 아이폰 8에 유사한 기능이 탑재될 것이라는 소문도 계속되고 있다. 애플이 올해 2월 얼굴 인식 기술 보유 스타트업 리얼페이스(Realface)를 인수한 데다가 얼굴 인식의 정확도를 높이는 기술에 대해 특허 출원까지 마쳤기 때문. ▲ 얼굴 인식 기술을 활용한 리얼페이스의 사진 앱 ‘피키즈’ ©trustedreviews.com   앞서 나가는 바이두, 경쟁하는 알리바바 그러나 현재 얼굴 인식 분야의 최전방에 서 있는 회사로 바이두를…

테크 돋보기

총체적이고 개인적이며 정의로운

  디지털 세계와 실제 세계를 모두 포함하는 UX 사물과 사물, 사람과 사물, 사람과 사람이 연결되는 IoT 환경의 확산, 축적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인공지능의 발달 및 디지털 세계를 ‘현실처럼’ 만들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UX는 다양한 각도로 증폭되고 있다. 많은 UX 전문지에서도 주목해야 할 사용자 경험 관련 기술로 인공지능과 VR 등을 꼽고 있는 가운데, 이러한 기술의 발전에 부응하는 사용자 경험을 설계하기 위한 키워드들을 살펴보자.   사용성과 접근성, UX는 사회 정의의 문제 세계적으로 인구 고령화가 진행되고 개발도상국에 중저가형 모바일 디바이스가 보급되면서, 단지 ‘밀레니얼’이나 ‘제너레이션Z’처럼 모바일에 익숙한 소비자층에 집중할 것이 아니라 현재의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지 않은 세대까지 포용할 수 있는 UX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UX란 본질적으로 사용성(Usability)과 접근성(Accessibility)의 문제이므로, 아무리 세련되고 혁신적인 디자인이라 할지라도 새롭게 디지털 세계에 진입한 초보자(Digital Novice)들의 사용과 접근을 보장하지 못한다면 재고할 여지가 있다. 이처럼 많은 사람이 얼마나 쉽고 빠르게 경험을 누릴 수 있는지가 새삼 중요해지는 현상을 IT 전문 미디어 『패스트컴퍼니』는 “사회 정의의 문제(It is about social justice)”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재미있는 경험을 누구나 누릴 수 있도록 UX를 설계하는 것은 단지 신규 유저들을 고객으로 포섭하기 위한 것만이 아니라, ‘모두가 모두에게 연결돼 있는 상황’에 익숙하고 따라서…

테크 돋보기

최적의 경험을 제공하는 감성컴퓨팅

인간의 상황을 이해하는 ‘감성적’ 인공지능의 발달 인공지능이란 명칭이 적극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1950년대로, 이때 학술 연구의 대상으로 자리잡았다. 적어도 60년 이상의 역사를 갖고 있는 오래된 개념임에도 최근 각종 미디어가 앞다퉈 인공지능을 중요한 화두로 다루고 있고, 페이스북과 애플 및 구글 같은 IT 거물들도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이는 인공지능이 단지 소설이나 영화, 또는 연구실 안에 머무르지 않고 소비자와 만나는 기술로 상용화되고 있음을 방증한다. 머신러닝과 딥러닝, 자연어처리기술(Natural language processing), 상황인지기술(Contextual recognition technology) 등 관련 기술들이 빠르게 고도화되면서, 최근 감성컴퓨팅(Affective computing) 또는 감성 ICT(Emotional ICT)가 주목을 끌고 있다. 이는 인공지능이 인간의 감정을 자동으로 인지할 뿐만 아니라 인간이 처한 상황과 맥락을 이해하고, 가장 알맞은 형태로 감정 정보를 처리해 제품/서비스로 제공함을 의미한다. 소비자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제품과 서비스에 감성컴퓨팅을 접목함으로써 최적화된 ‘맞춤형 경험(Personalized experience)’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마케터들이 눈여겨보는 기술이기도 하다. 시장 최전선에 서 있는 마케터들은 감정을 이해할 수 있는 인공지능을 활용, 소비자가 제품 및 서비스를 선택하고 소비하기까지 전 과정에 걸쳐 어떤 감정을 느끼는지, 나아가 어떻게 그 감정을 강화할 수 있을지 고민하고 있다.   웨어러블로 확대되는 감성컴퓨팅 영역 인공지능이 인간의 감정을 이해하고 나아가 그에 자율적으로 대처하는 과정은 크게 두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우선 인공지능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