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포먼스

[creativity] 시대가 변했다, 그렇다면 보험은? 삼성생명 <책임지는 인생금융>

  “나 때는 말이야~” ‘나 때는 애가 생기면 더 열심히 일하고, 안부 차 취업 소식도 묻고 했는데…’ 어느 순간, ‘시대가 참 많이 변했구나’ 실감하는 순간들이 있지 않나요? 대통령, 과학자, 선생님이었던 장래희망 1순위는 어느새 ‘유튜브 크리에이터’라는 생소한 단어가 차지하게 되었고, 열심히 일하는 세상이 아닌 열심히 즐기는 세상이 된 오늘입니다. 이처럼 다양한 인생을 살아가는 주변의 모습을 통해 우리는 인생에는 생각보다 훨씬 다양한 선택이 존재한다는 것을 깨닫게 되죠. 이렇듯 세상의 선택지가 너무나 많은 시대에서 보험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까요?     정답이 없는 세상 속 인생을 즐기는 다양한 선택 우리회사 사무실, 카페 옆자리, 버스 정류장…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평범한’ 아저씨. ‘나 때는 말이야~’를 대변하는 삼성생명 이번 캠페인의 모델 ‘김병철’. 김병철 님은 주변의 다양한 사람들에게 대화를 건네요. 상대방 반응은 언제나 그렇듯 김병철의 예측을 비껴갑니다. 다둥이 아버지가 된 회사 후배에게 ‘더 열심히 일 해야지!’라고 응원했지만 후배는 육아 휴직을 썼다며 자리를 정리하기 시작했구요. 카페에서 만난 취준생을 응원하려 했지만 ‘저… 여기 카페 사장인데요.’라는 답변을 듣고 머쓱해지고 말았죠. 동네에서 만난 어르신의 얼굴이 좋아 보여서 손자라도 만나고 오셨나 싶었더니 면접을 보고 오셨다네요!   어떤 인생을 살아가든 책임지는 인생금융 요즘 사람들은 참 다양한 삶을 사는 것 같습니다. 대학을…

트렌드

웹콘텐츠 전성시대, 웹테이너가 뜬다!

  요즘 안방가에 셰프, 스포츠 선수 등 비 예능인의 활약이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그 인기는 셰프테이너(셰프+엔터테이너), 스포테이너(스포츠+엔터테이너) 등의 신조어를 만들어 낼 정도. 이 같은 용어는 흔히 자신의 영역을 넘어 끼와 재능을 발산하는 이들을 가리켜 부르는 말인데요.  새로운 트렌드나 대중의 관심을 반영한다는 측면에서 주목받고 있죠. 이처럼 다양한 엔터테이너의 등장 속에 ‘웹테이너’의 인기가 심상치 않습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이 ‘2016년 10대 트렌드’ 중 하나로 선정하며, 더욱 관심이 쏠리고 있는데요. 웹테이너에 대한 궁금증, 속 시원히 파헤쳐 보겠습니다.   웹콘텐츠 생산자를 주목하다! ▲ (좌)냉장고를 부탁해에 출연 중인 웹툰 작가 김풍과 (우)마리텔에 출연한 웹툰 작가 이말년(이미지 출처: 냉장고를 부탁해 홈페이지 및 마이 리틀 텔레비전 홈페이지) 웹테이너(Webtainer)란 웹(Web)과 엔터테이너(Entertainer)의 합성어로방송과 인터넷을 넘나들며 끼를 발산하는 엔터테이너를 말합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은 올해 웹과 모바일, SNS를 활용해다양한 콘텐츠나 재능을 선보이는 웹테이너의 활약이 두드러질 것으로 전망했는데요. 이전에는 웹을 통해 유통되는 콘텐츠에 주목했다면 지금은 콘텐츠를만드는생산자, 즉 웹테이너에주목하기 시작한 것이죠.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활발하게활약하고 있는 웹테이너는웹툰작가와 BJ(Broadcasting Jockey), 유튜버(YouTuber) 등을꼽을 수 있는데요.  이들을 가리켜흔히 웹테이너 선구자라고 부르기도 하죠. 여러분도 아시다시피JTBC <냉장고를 부탁해>에 출연 중인 웹툰작가 김풍, MBC <마이리틀텔레비전>에 출연한 웹툰작가이말년, 각종 방송프로그램에 등장하고 있는BJ 대도서관, 윰댕 등이 대표적 인물입니다. 시청자들은 웹콘텐츠에서 보던 엔터테이너를 방송에서도 볼 수 있다는 점과예상치 못한 색다른 모습을 만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들의 등장을 반기는 분위기인데요. 웹툰 작가가 요리를 하거나웹툰을 제작하는모습으로 친근함과…

유튜브 트렌드 리포트

광고는 괜찮지만, 거짓말은 사절합니다

국내 슈퍼스타들의 스타일을 만들어 낸 ‘슈스스’ 스타일리스트 한혜연과 따라 입고 싶은 패션을 선보이며 사복 여신’에 등극한 가수 강민경은 공교롭게도 비슷한 시기에 비슷한 내용으로 도마 위에 올랐다. <슈스스 TV>와 <강민경 채널>을 통해 선보인 영상들에 협찬 받은 제품이 담겨 있었음이 밝혀지면서 시청자들이 거부감을 표시한 것이다. 두 사람은 곧 사과 의사를 표명했지만, 반응은 그다지 호의적이지 않았다. 문제는 두 사람이 협찬받은 제품을 홍보했다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협찬받은 사실을 숨기고 그 제품을 자신이 직접 구매한 것처럼 추천했다는 데 있었다. 그 부분에 대한 진정성 있는 사과가 미흡했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이들의 이슈가 채 가라앉기도 전에 유튜버들의 뒷광고 논란이 일파만파 번져나갔다. 특히 구독자 470만 명과 270만 명을 보유한 그야말로 먹방 여신, 문복희와 쯔양에 대한 구독자들의 실망감이 높았다. 문복희는 자신의 채널에 애매한 해명글을 올렸고, 쯔양은 사과문을 올린 후 돌연 은퇴 선언까지 하기에 이르렀다. 그들이 먹방계의 여신이었기에 구독자들에게는 더 큰 상처로 다가왔을 것이다. 이 일로 유튜브 PPL에도 경고등이 켜졌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며, 일각에서는 이번 일로 인해 유튜브 내 PPL 시장이 축소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된다.   유튜브의 PPL 광고는 시청자들에게 낯선 행태가 아니다. 영상을 제작하는 크리에이터들이 특정한 제품을 사용하며 홍보하는 것에 대해 잘못됐다고 생각하지도 않는다. ‘유튜브 생태계의 교란자’라 불리며 구독자 400만…

그러니까 디지털

브이로그, 평범한 일상에서 발견하는 꿈과 행복

  한때 온라인 영상의 대세는 ‘짧고 빠른 호흡’이었다. 밀레니얼들은 기다리는 것을 싫어할 뿐 아니라 재미있는 다른 콘텐츠가 온라인상에 얼마든지 있으므로 영상을 길게 만들면 초반 몇 분만 보다가 금세 싫증을 느끼고 다른 영상으로 재핑(zapping)한다. 이 때문에 ‘텐션을 떨어뜨리지 않고 단숨에 영상을 끝내야 한다’는 것이 일종의 성공하는 콘텐츠의 공식이었다. 그러나 사용자들이 영상 플랫폼에 익숙해지고 무선 데이터 요금 단가가 낮아짐에 따라 긴 영상에 대한 거부감이 점차 줄어들기 시작했다. 특히 지난 2017년 공전의 히트를 기록한 ‘유튜브 노동요’는 1시간이라는 긴 재생 시간에도 불구하고 “업무 보는 내내 틀어 뒀더니 정말 집중이 잘 되더라”는 입소문을 타고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인기를 끌었다. 이러한 흐름을 타고 일반인이 본인의 일상을 담담하게 기록하는 브이로그가 유행하기 시작했다. 특별한 기능을 뽐내거나 가르쳐 주려는 목적이 아니므로 핵심만을 간추리기 위한 편집이 없었고, 단순히 일상을 기록하는 것이므로 스튜디오 조명이나 고가의 카메라가 필요하지도 않았다. ‘재미없이 로봇처럼 공부하는 모습만 보여 주기 위해’ 만든 <노잼봇> 계정처럼 책상 앞에 스마트폰 카메라를 설치하고 공부하는 모습만 찍어 올려도 셀럽에 준하는 유명세를 탈 수 있었다. ※ 브이로그는 비디오(video)와 블로그(blog)의 합성어로, ‘비디오 형식으로 기록한 블로그’라는 것이 통상적 해석이다. 해외에서는 기업이나 전문 미디어가 아닌, 개인 사용자가 영상으로 기록한 리뷰, 정보, 일상 등을 모두 브이로그로 분류한다. 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