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포먼스

[Special] 한국 내 작은 통일을 만나다

‘어번 쉬크의 진수를 보여줄 모카 비알레티로 뽑은 아로마가 스트롱한 필링….’ 여러분은 이 문장을 얼마나 이해할 수 있으신가요? 최근 패션잡지 등에서 외래어를 우리말로 바꾸지 않고, 소리 나는 대로 쓰고 조사와 서술어만 우리말을 붙인 사례인데요. 이런 비문(非文)을 가리키는 신조어가 생겨 실소를 자아내기도 했죠. 그런데 만약 일상 속 언어가 이렇다면 어떨까요? 우리 주변에는 일상적인 단어들을 이해하지 못해 말 못할 고민을 안고 있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바로 목숨 걸고 자유를 찾아 온 탈북자들입니다. 가깝지만 먼 타자가 된 사람들 “같은 민족인데, 다 알아 들을 수 있는 거 아니야? 단어 차이가 그렇게 나겠어?”라고 반문하는 분도 계실 겁니다. 그러나 남북 분단 70년, 강산이 무려 7번이나 변했습니다. 그동안 북쪽은 말 다듬기 운동으로 무조건적 한글화를 추진했고, 남쪽은 글로벌화를 비롯해 디지털이 스며든 사회적 맥락에서 정체불명의 외래어, 외계어, 신조어가 넘쳐나는 상황입니다. 북에서 한의사였던 한 탈북자는 남측의 배려로 다시 한의사 시험을 볼 기회를 얻었다고 합니다. ‘수천만 리 목숨 걸고 왔는데, 이까짓 시험이 뭐가 어렵겠어?’하며 야심차게 도전했지만, 단어의 어려움 때문에 수차례 좌절했고 절망에 빠졌다고 합니다. 다행히 지금은 대한민국 한의사로 자리 잡고 계십니다만, 문제는 남북 언어 차이가 작지만 결코 작은 문제가 아니라는 점입니다. 급작스러웠던 독일의 통일도 사실 동서독 방송을 상호 시청했기 때문에 언어 차이가 총론적으로는…

총 0건의 기사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