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포먼스

[Creative Technology in Marketing_마정민 프로] Wearing the Future

  웨어러블 기기는 인간 감각의 확장으로써 이미 인간의 시야 안에 증강 현실 속 정보를 연결하는  놀라운 매개체가 되기도 하고, 걷거나 숨 쉬는 일상적인 활동을 유의미한 데이터로 만들어 내기도 합니다.  이번 호에서는 감각의 차원을 확장시키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다양한 센서 기술을 살펴보겠습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진화    마셜 맥루언(Marshall Mcluhan)이 살아 있었다면 ‘옷은 피부의 확장, 바퀴는 다리의 확장, 전기 회로는 중추신경계의 확장’이라는  인용구에 구글 글라스(Google Glass)나 핏빗(Fitbit)과 같은 디바이스를 언급했을 것 같습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해석의 범위에 따라서 사람의 몸과 밀착해 기능을 보조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거슬러 올라가 보면 13세기에 발명된 안경이나 17세기 청나라의 주판반지 등의 형태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 의미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착용자와 서로 정보를 주고받으며 상호작용하는 전자기기의 형태로,  1960년대 미국에서 웨어러블 컴퓨터로 불리면서 등장했고 이후 첨단 기술의 발전에 따라 빠르게 진화돼 왔습니다.   진화의 첫 형태는 계산 장치나 모니터 같은 컴퓨터의 일부 기능을 몸에 닿는 장치와 물리적으로 결합시키는 시도였습니다.  1961년 도박을 좋아했던 수학자 에드워드 소프(Edward Thorp)는 룰렛 게임에서 이기기 위해 신발이나 담뱃갑 안에  넣을 수 있는 타이머를 만들었는데, 버튼을 눌러서 바퀴의 움직임을 입력하면 귀에 감춰진 작은 스피커를 통해  신호를 보내주는 장치였습니다.    1966년 이반…

퍼포먼스

[Creative Technology in Marketing_마정민 프로] 블루투스 LE로 연결되는 일상

  테크놀로지 자체가 우리 삶을 변화시키지는 않습니다. 다만 이를 이용하는 방법에 따라 테크놀로지는 우리의 일상을 더 편하게 해주고 세상이 긴밀히 소통하게끔 도와줍니다. 그런데 새로운 방식은 복잡한 현대를 사는 우리에게 또 다른 귀찮음으로 다가오기도 합니다. 스마트폰을 꺼내어 무언가를 입력하거나 여러 번의 클릭을 요하는 기술의 장벽을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요? 이번 호에서는 생활을 더욱 편하게 해주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과 그 최신 형태인 블루투스 LE에 대해 알아봅니다.     블루투스 LE란   사람과 환경 간에 시공간적 제약을 없애고, 선(Wire)이라는 장애를 없애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은 이미 우리 생활과 아주 친숙한 개념입니다. 상품 판매와 유통에 필수적인 바코드에서부터 버스 카드 등에 사용되는 RFID, 무선 마우스처럼 기기 간 네크워크에 활용되는 블루투스까지 우리 주변에는 심리스(Seamless)한 경험을 위해 활용되어 온 무선 통신 기술들이 있습니다.   커뮤니케이션의 매개체로써 무선통신 기술의 가치를 생각해 볼 때 NFC, IrDA, 또는 OR 코드 등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의 종류나 첨단성보다는,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행동을 통한 고객 접점을 장악하는 접근성에 주목하게 됩니다. 이런 맥락에서 최근 화제를 모으고 있는 리테일 플랫폼인 아이비콘(iBeacon)을 비롯해 사물인터넷에 활용 가능한 핵심 기술인 블루투스 LE(Bluetooth LE)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블루투스 LE(Bluetooth Low Energy)는 전력 소모의 효율성과 사용자 접근성에서 기존 방식과…

총 0건의 기사가 있습니다.